독일 대학과 새로운 학문 Uni142 온라인 공부 그룹에서 나의 역할: 성실과 유머 Berlin am 24. April 2020 온라인 공부 그룹 3월 초 대학 도서관이 문을 닫을 때는 당황했다. 도서관 사물함에 넣어둔 책을 가지러 밤 늦게 급하게 도서관에 갔다. 이제 어디서 공부하나? 주중에는 친구들을 만나 공부를 하는데 만날 곳이 사라져버렸는데.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하지만 3월 18일 독일 전역에 자가 격리가 시작되면서 (미리 걱정을 해두어서인지) 오히려 마음이 편해졌다. 그래, 이제 이렇게 몇 달 동안 지내야 할 운명이구나. 자가 격리를 하며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Hannah한나에게 연락했다. 한나는 글쓰기 워크숍에서 만난 친구다. 작년 10월부터 글쓰기 그룹을 만들어 함께 공부하고 있다. 3주 전부터 나와 한나는 스카이프 채팅에서 만나 뽀모도로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며칠 .. 2020. 4. 25. 마감 마감 마감. 소논문 압박을 나누어 받는 법, 글쓰기 센터 면담 Berlin am 21.04.2020 또 한 번의 마감을 끝냈다. 이번 마감은 특히 벅찼다. 겨우 써서 보낸, 반 페이지의 글이 너무 부족하다는 걸 안다. 그래도 끝내서 다행이다. 논문 쓸 때도 그랬고, 소논문을 쓰는 지금도 정기적으로 글쓰기 센터에 방문한다. 요즘은 온라인 면담으로 한다. 처음 글쓰기 센터를 방문했던 이유는 절박했기 때문이었다. 독일 대학 첫 학기에 소논문을 썼을 때, 내 머리에서 나온 이야기(고등학교와 대학에서 배웠던 내용)를 쓴 다음 참고 문헌을 갖다 붙였다. 학술적인 글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몰랐으니까. 도대체 독일어로 12장을 어떻게 채워야 하나, 그것만 고민했다. 한 달간 끙끙 앓다가 제출일 하루 전에 겨우 냈다. 첫 번째 소논문 이후로 학술적 글쓰기 수업을 매 학기마다 찾아 들.. 2020. 4. 22. 독서 카드 - 학문의 즐거움, 히로나카 헤이스케 Berlin am 13. April 2020 학문의 즐거움, 히로나카 헤이스케 학문이란 본래 그다지 어려운 것이 아니고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할 수 있으며, 그 기쁨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144) 꿈이란 참으로 이상한 것이다. 실현하기에 불가능해 보일지라도 그것을 마음에 간직하고 있으면 은연중에 꿈을 이루어 보려고 하는 힘이 생기거나, 또 그런 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만으로도 삶이 가치있어 보이기도 한다. (16) 사람이 계속 배워나가기 위해서는 작은 것이라도 '성공 경험'을 많이 쌓아 올릴 필요가 있다. 이것은 창조의 단계에 들어가서도 적용된다. 작은 것을 만드는 데 성공함으로써 기분이 좋아지고, 그 쾌감이 다음의 보다 큰 창조를 불러오는 일이 자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 2020. 4. 14. Vlog :: 코로나 일상 - Zoom에서 친구와 공부하기, 저녁 식사, 산책, 바닥 낙서 Berlin am 21. April 2020 지날 3월 초 일주일 동안 매일 Vlog를 올리고 한 달이나 업데이트가 안 되었던 이유는... 딱히 없다. 그동안 짬짬이 영상을 찍기는 했지만 편집할 시간이 없었다. 그래도 한 번 Vlog를 시작하고 나니까, 일상을 영상으로 남기는 좋은 습관이 생겼다. 글 중에 가장 쉬운 글은 일기다. 나에게는 그렇다. 영상도 하루 있었던 일을 모아보니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었다. 이런 식으로 일기 쓰듯 Vlog를 만들며 영상 편집에 익숙해지면, 한 가지 주제로 영상을 만들 계획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궁무진하다. 어제 새벽에 일어나 Vlog 찍고 싶은 주제를 마인드맵으로 그려보니 A4용지가 가득 찼다. 한 번에 많이 하려고 하지 말고 조금씩 꾸준히 하기가 목표다. 블로.. 2020. 4. 12. 인생의 다른 시기를 살고 있는 사람 만나기 2020년 3월 16일 월요일 오후 사람들이 밀라논나의 채널을 즐겨보는 이유는 다른 인생의 시기를 살고 있는 사람을 통해 지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도 그렇다. 밀라논나(할머니)가 화초 가꾸시는 모습을 보며 ‘봄이 왔으니 나도 화분을 사야겠군' 생각했다. 작년에 학사 논문을 쓰며 어렵다면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논문 쓸 때는 논문 생각만 한다. '참고 문헌이 어렵네, 내일 글쓰기 센터 면담은 어떡하지, 교수님 면담 약속을 잡아야 하는데, 오늘 계획한 공부는 다 했나?' 등. 논문을 쓰며 지적 호기심이 채워지고 글이 술술 써질 때도 있지만 그런 날은 얼마 안 된다. 논문 쓰는 대부분의 시간은 오욱환 교수님의 표현대로 '인내를 요구하는 노역'이다. 노역을 하다보면 노역에 매몰될 때도 있다. 노역.. 2020. 3. 17. 듣는 블로그 :: 참고 문헌이 잘 이해되지 않을 때 소리내어 읽기 (독일어 논문) 2020년 3월 15일 일요일 밤 베를린 참고 문헌이 잘 이해되지 않을 때 했던 방법 중 하나가 소리 내어 읽기다. 특별한 방법이라기보다,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이다. 소리 내어 읽어보면 분위기 전환도 되고 재미도 있다. 눈으로 읽을 때 잘 이해가지 않았던 참고 문헌이, 천천히 소리내어 읽으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더라. 참고 문헌은 Hans Günter Bastian의 Musik(erziehung) und ihre Wirkung이다. 독일에서 음악교육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Bastian-Studie로 불리는 책이다. 6년 동안 베를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음악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논문이다. 참고 문헌을 소리 내어 읽으면 좋은 점이 또 하나 있다. 전공 용어가 입에 붙는 것이다. 글쓰기 센터나 교.. 2020. 3. 1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4 다음